『Interpretation 신명기』 (패트릭 밀러 지음, 한국장로교출판사 펴냄) 1장. 하나님의 인도와 인간의 두려움
신명기 1-4장
- 신명기 전체의 도입부 - 주요한 주제와 관심사
- 경계선에 서 있는 사람들에게 주어짐 - 노예 vs 자유, 곤경 vs 약속
- 역사적 회고와 모세의 당부
- 4장은 1-3장이 신명기 역사서의 서론으로 배치된 후에 추가된 강력한 진술
역사적 회고 (1-3장) 어떻게 이스라엘이 현재의 장소까지 오게 되었는가 1장 실패, 좌절, 저지된 전진 2:1-3:11 평화로운 대면과 아모리족에 대한 승리로 인해 성취된 진전 3:12-29 요단 동편 지파들에 대한 최초의 땅 분할 모세의 당부 (4장)- ‘이제 지금’ 어떻게 할 것인가/법도와 규례를 준행 |
하나님의 인도와 인간의 두려움 (1:1-46)
신명기 서론 (1:1-5)
시간과 장소에 대한 구체적 정보 - 신뢰와 약속
- 구체적 위치가 어디인가는 불명확하고 덜 중요하다.
- 신명기는 앞선 책들과 함께, 그리고 앞선 책들에 근거해 읽어야 한다.
- 일반적 진술이 아닌 구체적 삶과 경험이라는 맥락에 자리잡은 이야기
호렙 - 하나님과 인간의 계약과 율법 수여 (출발점/기본 전제) 가데스 바네아 - 불신과 두려움의 상징 (신뢰 없이 약속 없다) / 40년 (실패한 세대) 시혼과 옥 - 신뢰하는 백성에게 약속을 이루시는 하나님의 능력 |
반복된 서론들 (1,3,5절) - 인간, 전달자, 해석
1절 - 신명기는 특정한 시공간에 살았던 모세라는 인간의 말씀과 강론이다. 3절 - 모세는 야훼의 말을 정확하게 전하는 전달자다. 5절 - 모세는 토라의 해석자요 교사다. |
- 인간 모세에 의해 새로이 해석된 계시인 신명기도 여전히 하나님의 말씀이다.
- 후대의 편집을 거친 신명기의 본문도 모세의 말이자 하나님의 말씀이다.
땅 선물 (1:6-8)
약속된 땅 - 약속을 믿는 신뢰의 역사가 전제됨 선물로 주어진 땅 - 자격 없이 은혜로 주어진 땅 정복하여 얻어야 할 땅 - 선물은 전쟁을 통해 현실화 |
- 이 선물은 하나님의 약속과 인간의 반응이 결합해야 현실화된다.
지도자를 돕는 동역자들의 필요성 (1:9-18)
- 신명기의 주요 관심사는 다스림의 문제이며 신명기는 정착할 이스라엘의 헌법적 대요강
- 내용 : ① 지도력의 표준들과 지위들을 위한 지침 ② 지도자들의 책임에 대한 가르침
- 조직과 지도력의 필요는 아브라함에게 약속된 축복의 성취 과정에서 비롯 (번성)
- 모세에게 부과된 짐 ① 백성들의 분쟁과 고소 ② 모세와 하나님을 대적하는 비난들
- 지도력의 일차 기능은 사법적인 것 - 정의와 공평의 유지
① 옳은 결정 - 의로운 자들을 찾아냄
② 편파적이면 안된다
③ 두려움 때문에 정의를 희생하지 말라
- 지도자의 자격은 지혜, 분별력, 명망
인간적 두려움에 대한 이야기 (1:19-46)
(0) 이야기의 배경 (19) - 가데스 바네아
(1) 모세의 명령 (20-21) - 땅을 정복하라/강한 확신의 말과 함께 주어짐
(2) 백성의 첫 번재 반응 (21-25) - 정탐꾼 파견/실제적 보고(땅이 좋다)
(3) 백성의 두 번째 반응 (26-28) - 두려움
① 하나님이 확신의 말과 실제적 보고까지 곁들여 땅을 약속하심
② 백성들은 미약함과 신뢰 결핍의 반응을 보임
(4) 모세의 반응 (29-31) - 광범위하고 심화된 확신의 말
용사로서의 야훼 (30) - 출애굽처럼 우리를 대신해서 싸우시는 야훼 어버이로서의 야훼 (31) - 광야에서처럼 우리를 돌보시는 야훼 |
① 하나님의 백성이 경험할 하나님의 구원행위에 대한 범례
② 적절한 반응은 신뢰와 기쁨
(5) 백성의 세 번째 반응 (32-33) - 누그러지지 않는 두려움
(6) 야훼의 심판선언 (34-40) - 갈렙과 여호수아 빼고는 땅을 받지 못할 것이다
(7) 순종과 불순종 (41-46)
① 백성들의 자의적 순종은 경거망동과 불순종이 된다.
② 결과는 하나님의 무응답
(#) 무엇을 보느냐 - 하나님의 권능 vs 적의 위력
① 모세 - 하나님의 싸우심/자상한 보호
② 백성 - 아낙자손 (두려움의 범례적 상징)
결론
① 하나님의 은혜로운 사랑에도 불구하고 불순종한 백성들에 대한 역사적 교훈
② 불순종의 핵심은 교만과 자기주장이 아니라 나태와 두려움과 불안
③ 과거가 하나님의 약속을 신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지만 미래의 어려움을 두려워함
④ 신명기의 주제를 예기 - 약속과 훈계를 따라 살지 않으려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불순종을 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