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연구훈련/성경연구단상

『마태복음 해석』 (김학철 지음, 대한기독교서회 펴냄) 제 7장 마태공동체 연구사 요약 (2023년 4월 1일)

by 서음인 2023. 7. 14.

 
 

1. 서언

 
- 1950년대로부터 시작 - 주로 ‘마태’에 강조점
- 1990년대 이후 - 사회과학적 비평에 의존
 

2. 마태공동체의 학문적 성격과 공동체의 형태

 
- 도브슈츠 - “랍비와 교리문답 교수자로서의 마태”(1928)
- 슈텐달 - 학자적 소양을 갖춘 사람들이 주도하는 “마태 학파”
- 킬파트릭/굴더 - 마태복음은 제의적 필요에 의해 생긴 문서/ 일종의 성구집
- 타이센 - 새로운 지혜운동 (엘리트뿐 아닌 여인과 어린이 포함)
- 평가 - 마태공동체는 학문적으로 활발했지만 랍비 중심의 ‘학파’로 발전하려는 경향에 대해 서는 경계함
- 슈바이처 - 선지자들과 방랑하는 카리스마적 지도자들의 공동페
- 킹스베리/크로스비 - 정착 공동체
- 평가 - 카리스마적 방랑가들의 권위에서 지역 공동체의 권위로 옮겨지는 과정
 

3. 마태공동체의 종교 인종적 지평

 
(1) 유대적 지평
 
- 데이비스 - 마태복음은 얌니아 회의를 포함한 바리새 개혁운동에 대한 반응
- 오버만 - 동시대의 주류였던 ‘형성기의 유대교’ 내에 존재했던 분파 그룹
- 살다리니 - 유대교(들) 내에 존재했던 일탈적 그룹인 ‘마태 그룹’
 
(2) 유대적 - 이방적 지평
 
- 해그너 - 유대교와의 분리를 깨닫지만 “누구의 땅도 아닌”곳에 위치함
- 루츠 - 유대교와 분리되었으나 유대적 유산이나 유대인의 중요성 높이 평가
- 타이센 - 유대교와 기구적으로 본리, 심성적 차원에서는 분리 안됨
- 평가 회당과의 분리가 유대교와의 분리는 아니다
 
(3) 이방적 지평
 
- 슈트레커 - 마태복음의 유대적 특성은 마태공동체의 현재를 반영하지 않는다.
- 시니어 - 친 이방적 본문과 이방선교 강조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해그너 - 마태공동체는 그리스도교의 유대적 형태이지 유대교 내의 일탈 그룹이 아니다.
- 바이른 - 이방인의 유입은 마태공동체의 정체성에 중심적 상황 (vs 심)
- 평가 - 결론에 도달하기 휩지 않다. 그레코-로만 사회의 배경에서 이해해야 한다.
 

4. 사회적 모임으로서 마태공동체

 
- 스탠턴 - 유대교 회당내의 분파적 존재인 제자들의 모임을 옹호하는 문서
- 살다리니 - 유대교내의 일탈그룹이 만든 그레코-로만 사회의 “사적이고 자발적인 모임”
- 다른 사람들에게 존중받기 위해 신앙체계, 이데올로기. 수사학을 정교화
- 평가 - 마태공동체를 지나치게 유대적 환경에 축소
- 마태공동체 내부의 역동성을 경시
 
- 덜링 - 마태공동체는 “가상적인 친족 그룹 혹은 가상적인 형제 모임”
- 예수에 충성함으로서 대안적 가정에서 한계적 삶을 살아가는 “자발적인 주변부”
- 공동체 내의 치열한 내부갈등에 주목함
- 로핑크 - 마태 공동체는 ‘주변성’이 아니라 ‘대안성’을 정체성으로 가지는 “대조사회”이다
 

5. 마태공동체의 자기 정체성

 
- 살다리니 - 마태의 유대인/유대교 비판은 유대교 내부의 논쟁이다.
- 마태공동체와 랍비적 유대교 사이의 경쟁과 주도권 다툼
- 바인펠트 - 마태의 비판 자체가 유대적이다
- 자이커 - “정체성의 정치학” *에 의거해 마태공동체 분석
- 유대교에 대해 온전히 이해하고 제대로 실천한다는 확신에 찬 공동체
- 예수에 의해 주어진 권위로 유대교의 율법 해석
- 동시대인들에 의해 저질러진 유대교 왜곡을 비난/유대교와 결별하려고 하지 않음
- 네이레 - “명예-수치”코드로 마태공동체에 접근함
- 명예와 수치를 개혁함/동시대의 명예인류학적 가치를 전복하고 새로이 세움
- 진정한 명예는 예수를 따라는 사람에게 돌아갈 것이다.
- 카터 - “독자중심비평” 혹은 “독자반응비평” - 저자적 독자**
- ‘주변부 공동체’ - 마태복음이라는 대안적 이야기를 가짐
- 회당과 로마제국과 대조되는 정체성과 삶의 방식을 지닌 공동체
 

6. 마태복음 연구의 전망

 
- 방법론의 혼용
- 내러티브의 부활
- 그레코 로만 셰계라는 배경
- 오늘날의 상황에 연결시키는 해석적 적옵
- 인류에게 종교적 이상과 윤리적 깨달음의 절정을 보여주며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한 문서와 그 배후와 공동체에 대한 관심
 

 

* 정체성의 정치학은 상처받은 정체성을 옹호하면서 그 정체성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며, 개인적인 것을 정치화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 저자가 글을 쓰면서 마음에 품고 있는 독자를 의미한다. 저자적 독자가 된다는 것은 하나의 특정한 사회/해석적 공동체에 속한다는 의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