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 사회/종교인류신화

인류학의 거장들(제리 무어, 한길사) 인류학의 역사와 이론(엘런 바너드, 한길사), 문화인류학의 20가지 이론(아야베 쓰네요, 일조각)

by 서음인 2017. 7. 5.

1.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유명한 책 『가족, 사유재산 그리고 국가의 기원』은 인류학의 고전 중 하나인 모건의『고대사회』의 주장을 저술의 근간으로 삼고 있을 뿐 아니라, 레슬리 화이트나 마빈 해리스, 엘리너 리콕과 같이 신진화론 혹은 유물론적 관점에 서 있는 후대의 문화인류학자들에게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이렇게 인류학과 관계가 깊은 엥겔스의 책을 읽던 중 좀더 풍성하고 입체적인 이해를 위해 좋은 문화인류학 개론서 세 권을 함께 함께 펴들었다. 


2. 『인류학의 거장들』이 커다란 족적을 남긴 학자들과 그 업적을 중심으로 인류학을 소개하는 인물 중심의 인류학사라면 , 일본학자의 저술인 『문화인류학의 20가지 이론』은 20가지의 중요한 인류학 이론과 연구주제들을 공시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소개서이며, 『인류학의 역사와 이론』은 역사적 순서에 따라 인류학의 중요한 이론과 인물들을 함께 소개하고 있는 개설서라 할 수 있다. 


3. 저자들에 의하면 인류학의 이론은 대체적으로 진화론이나 전파론 같은 통시적 관점에서 기능주의나 구조주의와 같은 공시적 관점을 거쳐 상징인류학이나 해석인류학으로 대표되는 상호작용론적 접근으로, 그리고 사회를 강조하는 관점에서 문화를 강조하는 관점으로 변화되어 왔다고 한다. 개인적 관점으로는 우선 『인류학의 거장들』을 통해 인류학의 역사를 개관한 후 『문화인류학의 20가지 이론』 『인류학의 역사와 이론』 을 통해 공시적 관점에서 인류학을 자세히 살핀다면 좋은 입문이 될 것 같다.  



각 책의 목차



1. 『인류학의 거장들 


제1부 창시자들 
에드워드 타일러 - 문화의 진화 
루이스 모건 - 사회의 진화 
프란츠 보아스 - 문화의 맥락 
에밀 뒤르켐 - 유기체적 사회 

제2부 문화의 성격 
앨프레드 크로버 - 문화의 형상 
루스 베니딕트 - 문화의 유형 
에드워드 사피어 - 문화, 언어, 개인 
마거릿 미드 - 개인과 문화 

제3부 사회의 성격 
마르셀 모스 - 기본적 범주, 총체적 사실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 문화의 기능 
래드클리프 브라운 - 사회의 구조 
에드워드 에번스 - 프리처드 - 사회인류학, 사회사 

제4부 진화론, 적응론, 유물론 
레슬리 화이트 - 진화론의 부활 
줄리언 스튜어드 - 문화생태학과 다선진화 
마빈 해리스 - 문화유물론 
엘리너 버크 리콕 -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역사 

제5부 구조, 상징, 의미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 구조주의 
빅터 터너 - 상징, 순례, 드라마 
클리퍼드 기초 - 해석인류학 
메리 더글러스 - 상징과 구조, 오염과 순수 
제임스 페르난데스 - 수사의 작용



2. 『문화인류학의 20가지 이론 


1. 문화진화론 _헨리 스튜어트 
2. 문화전파주의 _페터 크네히트 
3. 기능주의 _나가타 슈이치 
4. 문화상대주의 _누마자키 이치로 
5. 구조주의 _오다 마코토 
6. 마르크스주의와 문화인류학 _오노자와 마사키 
7. 인식인류학 _요시오카 마사노리 
8. 상징인류학 _스즈키 마사타카 
9. 해석인류학 _고이즈미 준지 
10. 현상학과 인류학 _곤도 히데토시 
11. 에스니시티론 _아야베 쓰네오 
12. 환경인류학 _기시가미 노부히로 
13. 의료신체론 _스즈키 나나미 
14. 젠더론 _하야미 요코 
15. 개발론 _마에가와 게이지 
16. 탈식민론 _오타니 히로후미 
17. 관광인류학 _야마시타 신지 
18. 다문화주의론 _요네야마 리사 
19. 민족지론 _구와야마 다카미 
20. 실천론 _세키네 히사오



3.『인류학의 역사와 이론 


1. 인류학의 전망 
2. 인류학적 전통의 선구자들 
3. 진화에 관한 다양한 시각 
4. 전파주의와 문화영역 이론 
5. 기능주의와 구조기능주의 
6. 행위중심의 접근, 과정주의적 접근, 마르크스주의 
7. 상대주의에서 인지과학으로 
8. 구조주의 언어학과 구조주의 인류학 
9. 후기구조주의, 여성주의, 이단 
10. 해석학적 접근과 포스트모더니즘 
11. 결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