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연구훈련/책별연구후기

룻기 해석의 틀

by 서음인 2022. 5. 5.

1. 구원사적 해석 - ‘헤세드’로 구원사 단절의 위기를 극복하다

룻기는 패역과 배도로 점철된 위기의 사사 시대에 하나님이 보존하신 ‘신실한’ 신앙의 가정과 공동체를 통해 구원사 단절의 위기가 극복되고 다윗 왕의 조상이 탄생한 이야기를 들려 준다. 룻은 시어머니와 하나님에 대한 ‘헤세드’를 보여준 효부(孝婦)이자 신앙의 영웅이며, 가문의 대를 잇게 해준 가부장 사회의 모범적 여성상이기도 하다. 이 해석에서 가부장제는 당연한 것으로 전제되며, 하나님은 가부장 질서 안에서 그 질서를 이용해 자신의 목적을 이뤄가신다.

2. 보편주의적 해석 - 룻기는 에스라/느헤미야 개혁에 대한 반동이다

룻기는 당시의 규범을 거스르지 않는 아름다와 보이는 이야기 속에 저작시기의 지배 담론인 배타주의와 국수주의에 이의를 제기하는 저항 담론을 담아낸 문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이야기의 핵심은 이방 여인 룻이 이스라엘 민족 정통성의 정점인 다윗의 조상이 되었다는 것이며, 이는 그 자체로 에스라와 느헤미야 시대를 지배한 편협하고 폐쇄적인 민족주의에 대한 강력한 비판의 메시지가 된다. 포용과 환대의 정신을 담은 룻기는 모든 시대 모든 장소의 소수자들을 위한 문서다.

3. 비판적 해석 - 룻은 위험한 이방 여성인 반쪽짜리 영웅이다

룻기는 여성의 가치가 대를 이을 아들의 출산에 있다는 가부장적 가치를 옹호하고 이방 여인에 대한 동시대 유대인들의 부정적 인식을 보여주는 책이다. 룻은 자신의 ‘헤세드’를 통해 정당하게 다윗의 조상에 속하게 되었지만, 성적인 수단을 써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한 ‘위험한’ 이방 여인이기도 했다. 마지막에 이스라엘 여인 나오미가 오벳의 어머니로 칭송받는다는 사실은, '위험한' 모압 여인인 룻이 이스라엘 공동체 내에서 완전한 구성원으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4. 여성신학적 해석 - 두 여성의 결단과 연대가 죽음을 생명으로 바꾸다

룻기는 가부장 사회에서 남편과 아들의 상실로 죽음에 직면한 두 여인이 삶과 신앙의 대담한 결정을 내리고 함께 연대해 용기 있는 모험을 감행한 끝에 배후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도움으로 자신들의 운명을 개척해낸 이야기다. 남성 주인공인 보아스는 두 사람의 구속자가 될 힘을 가지고 있지만, 주도적으로 이야기를 이끄는 힘은 가지고 있지 않다. 두 여성은 자신들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가부장 체제에 정면으로 맞서는 대신, 생존과 안위를 위해 가부장제를 지혜롭게 ‘이용’한다 .

5. 퀴어신학의 해석 - “우리의 여성 퀴어 선조” 룻의 전략을 배우자!

룻은 나오미를 향한 자신의 감정을 분명히 드러내고(comes out) 그녀를 선택함으로서, 결혼 상태와 자녀 생산을 기준으로 여성의 가치를 규정하는 가부장 질서를 거부한다. 룻과 나오미는 자신들의 관계를 가치 있다고 인정하기를 거부하는 사회 안에서, 생존과 안위를 위해 그들의 ‘가족’ 안에 보아스를 받아들이고 가부장 사회의 제도들을 적절히 활용한다. 그들의 방식은 오늘날의 퀴어 공동체에게 적대적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을 제공한다.

6. 로맨틱(?) 한 해석 - 사랑이 이긴다!

룻기는 착하지만 가난한 여주인공이 돈 많고 지위 높은 남자 주인공을 만나 사랑에 빠진 후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고 마침내 결혼에 골인해 행복하게 살았다는 로맨틱한 신데렐라 스토리로 읽을 수도 있다. 두 사람 사이에 놓인 신분과 인종과 나이의 차이를 극복하게 한 동력은 바로 사랑이며, 가부장제는 두 사람의 사랑이 맺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물이자 동시에 두 사람의 사랑을 이어지게 만들어주는 반전의 도우미 역할을 하기도 한다.

7. 글로벌 시민 룻 - 룻은 성공한 이주노동자다

룻은 국가의 경계를 넘어 편견을 극복하고 성공을 이룬 이주노동자요 글로벌 시민이다. 그는 이스라엘과 적대 관계에 가까왔던 이웃나라 모압 출신의 가난한 미망인으로 이스라엘로 이주한 후, 시어머니 나오미나 베들레헴 거주민들의 비우호적 태도와 제도적 차별의 장벽을 극복하고 자신을 삶을 성공적으로 개척한다. 룻기는 한 이주 노동자의 치열한 생존투쟁이 서정과 로맨스의 이름으로 포장되어 우리 앞에 던져진 거칠고 생생한 삶의 이야기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