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78

제임스 앙소르 (울리케 베스크 말로르니 지음, 마로니에 북스 펴냄) 가면이나 해골이 등장하는 그로테스크한 그림들로 유명한 제임스 앙소르(James Ensor, 1860~1949)는 쿠르베와 같은 사실주의나 모네로 대표되는 인상주의가 풍미했던 19세기말에 표현주의적이며 풍자적인 독특한 화풍으로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는 세상과 허위와 위선에 가득찬 당대의 부르주아 사회를 통렬히 비웃고 풍자한 괴짜 화가였으며, 20세기의 파울 클레나 게오르게 그로스 같은 화가들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그로테스크하고 연극적인 것, 풍자와 야유 속에서 자신의 기질과 내적 본능에 맞는 표현수단을 발견했으며, 세상을 향한 급진적이고 풍자적이며 불평스러운 시선을 담아낼 수단을 찾아낸” 이 벨기에 화가의 그림에는 과연 그로테스크한 형상, 찌푸린 얼굴, 해골이나 가면, 섬뜩한 환영들이 가득하고, .. 2016. 5. 26.
자끄 엘륄 입문 (신광은 지음, 대장간 펴냄) 2010년의 리뷰 젊은 날 라는 책으로 처음 만난 이후 지금까지 자끄 엘륄은 나에게 언젠가는 반드시 올라야 할 산과 같은 존재로 남아 있다. 그의 책들은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할 뿐 아니라, 독자를 심히 불편하게 만드는 괴력(?)을 가지고 있어 읽기에 결코 편안하지 않다. 탁월한 자끄 엘륄 소개서인 이 책 을 읽으며 그 불편함의 실체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은 큰 수확이라고 생각한다. 우선 그는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세상의 질서(필연의 질서) - 돈, 기술, 국가권력, 종교 - 에 대해 매우 비관적이다. 이러한 필연의 질서들은 현대 사회에서 영적인 실체로 우리에게 경배를 요구하는 우상이 되고 있으며, 철저하게 악마적이기에 결코 기독교화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그는 기독교가 세상을 변혁시.. 2016. 5. 26.
버지니아 울프와 밤을 새다 (이화경 지음, 웅진 지식하우스 펴냄) 이 책은 소설가 이화경이 삶의 여정에서 만났던 열 명의 작가들 (모두 여성이다) 과 밤을 세워가며 교감한 소통의 기록이다. 19-20 세기의 격동기를 살았던 그녀들은 당대의 인습에 저항하여 자신과 세상이 누군지에 대한 정확한 앎을 추구했고, 자유롭고 당당한 삶의 주인이자 주체로 서고자 했으며, 그 결과 처하게 된 억압과 고통 그리고 비극적 삶 앞에서도 결코 굴복하지도, 지성의 의연함을 잃지도 않는다. 또한 그녀들은 감당하기 힘든 개인적 고난의 와중에서도 언제나 타인의 고통에 깊이 공감했으며, 고통 받는 이들의 편에 서서 그들을 위해 싸우기를 마다하지 않았다. 이러한 그녀들의 삶은 여성이라는 범주를 넘어 보편적 인간의 자유와 존엄을 위한 지난한 여정이었으며, 신학자 로호만이 그의 책 그리스도냐 프로메테우스.. 2016. 5. 26.
톰 라이트 바울의 복음을 말하다 (톰 라이트 지음, 에클레시아북스 펴냄) 1. 소위 “바울에 대한 새 관점” 학파의 대표주자중 한 명이면서 가장 대중적인 저술가이기도 한 톰 라이트가 바울에 대해 저술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는 이 책을 드디어 만났다. 루터 이후 바울신학의 핵심으로 여겨진 이신칭의나 전가된 의와 같은 개념을 총체적으로 재검토하면서 언약신학의 맥락에서 새롭게 기술하고 있는 이 책과 만나는 것은 기존의 사고가 전부 뒤집히는 당혹스러운 경험이기도 했지만, 처음으로 만난 멋진(과연 명불허전!) 가이드와 함께 미지의 땅을 탐험하는 매혹적인 모험이기도 했다. 2. 저자는 다소의 사울이 가장 강경한 샴마이학파의 바리새인이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 말은 사울이 진정으로 바란 것이 여호와 하나님이 마지막 날에 자신의 백성에게 약속하셨던 구원이 역사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2016.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