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세의 노래(32;1-47)와 서론(31:16-22)
- 우상숭배하는 이스라엘을 고소하는 근거
- 선지자 시대에 일어났던 계약 파기가 예견됨
서론 (31:16-22)
- 불순종의 표상 - 매춘과 간음의 이미지 사용
- 하나님의 심판 - 하나님의 진노(17)와 하나님의 부재(18)
- 패망과 포로의 경험 or 광야의 불순종 경험 or 창세기의 불순종(인간의 지향)
- 모세의 노래
① 일어난 사실에 대한 증거(곤고한 날) + 다가올 일에 대한 경고(형통한 날)
② 법률적-사법적 기능(정죄와 탄핵) + 교육적-권계적 기능(권고)
③ 계약파기에 대한 고소장 + 심판을 뛰어넘는 하나님의 신실하심
모세의 노래 (32:1-47)
1. 서론 (32:1-6)
(1) 형식상의 도입 (1-3)
① 계약과 가르침 - 계약은 법령이 아닌 모세의 가르침 형태
② 교훈과 찬양 - 토라의 교훈(1)에서 찬양(3,43, inclusio)으로
③ 하늘과 땅을 백성 고소의 증인으로 호출
(2) 주제적 서론 (4-6)
① 이 노래의 중심주제
② 하나님의 선대와 백성의 반응 사이의 대조
③ 반석(안전/신실하심) vs 배신(비뚤어짐/미련함)
2.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돌보심 회상 (32:7-14)
- 창조적 활동을 통하여 열국 중에서 한 백성을 선택하신 야훼 하나님에 대한 詩的 회상
- 두 가지 해야 할 일 (7)
① 야훼의 구원행위를 기억하라
② 전하고 배우고 익히라 (가족 공동체 내에서의 구전전승)
- 이스라엘과 열국 (8-9)
① 열국에게 각자의 몫을 주신 하나님 -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몫
② 세계의 종교와 신들은 하나님 세우신 질서에 속한다.
③ 종교다원주의 세상에서 어떻게 대화할까? 그리스도의 주권은 어떤 의미?
- 광야에서의 섭리적 보호 (11) - 새끼를 돌보는 어미 독수리의 이미지
- 오직 야훼만 인도하심 (12) - 신명기 신학의 중심 / 백성들의 배도를 예기
- 약속의 땅을 주심 (13-14) - 후대의 저작임을 암시?
3. 패역과 우상숭배로 응답한 이스라엘의 역사 (32:15-18)
- 백성의 반역에 대한 자기 정죄와 자책적 고백의 노래 (경고의 현실화)
- 으뜸가는 잘못은 쉐마와 십계명의 첫 번째 계명에 대한 불순종
- 반석(신실하심)과 부모(친밀함)의 이미지를 사용함
4. 야훼의 심판 선고 (32:19-27)
- 하나님의 심판 - ‘하나님이 아닌 것’에 대해 ‘하나님이 백성이 아닌 것’으로 심판
- 진멸과 계약파기의 멈추심(26, 27)
① 하나님의 능력과 명성이 훼손
② 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의 성품
5. 무지몽매하고 타락한 대적 (32:28-33)
- 대적이 누구인지 명확하지 않음 (삼상 4-6장의 블레셋 족속 이야기와 비슷)
- 신명기 신학 - 현실의 모든 일은 야훼의 주권과 계획 아래서 일어난다
6. 당신의 백성들을 변호하시는 하나님 (32:34-43)
- 하나님의 절대주권 아래서 일어나는 심판, 복수, 회복
- 복수와 관련된 야만적 용어사용(41-43)
① 거룩한 목적/의로운 다스림을 수행하는 하나님을 표현하는 동시대의 대중적 이미지
② 복수보다는 변호 혹은 신원이 더 적합함
- 신원의 의미
① 쇠약해진 하나님 백성의 소생과 불의한 자들에 대한 심판이라는 두 얼굴
② 신원은 하나님의 것 - 인간의 몫은 용서와 화해 (선으로 악을 이기라)
- 용서와 속죄의 약속 - 인간의 의지와 결단이 아닌 하나님 자신의 의도와 신실함
'성경연구훈련 > 성경연구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이스라엘 문화』 줌미팅 후기 (2024년 4월 20일) (0) | 2024.04.21 |
---|---|
민경구 교수님과의 『Interpretation 신명기』줌미팅 후기 (2024년 3월 30일) (0) | 2024.04.20 |
『Interpretation 신명기』 줌미팅 후기 (2024년 3월 16일) (0) | 2024.03.21 |
종교개혁 이전의 핵심적 성서번역과 신학언어들 (0) | 2024.02.26 |
『Interpretation 신명기』줌미팅 후기 (2024년 2월 17일) (0) | 2024.02.20 |
댓글